스킵네비게이션

부산여성가족과 평생교육진흥원

여성가족 연구보고서

[2018-09]부산지역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최청락 2018-10-02 2930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Ⅱ. 부산지역 여성경제활동의 개관

    1. 여성경제활동의 현황

        1) 전반적인 경제활동 현황

        2) 생애주기별 경제활동 현황

        3) 여성취업자의 학력 현황

        4) 여성취업자의 직업 현황

        5) 여성취업자의 산업 현황

        6) 여성취업자의 경력단절과 취업 욕구

    2. 비경제활동여성의 경력단절과 취업 욕구

        1)경력단절여성 규모

        2) 비경제활동여성의 활동 상태

        3) 비경제활동여성의 연령

        4) 비경제활동여성의 학력

        5) 비경제활동여성의 구직 활동

        6) 잠재 여성취업자 규모

    3. 부산지역 일·생활 균형 현황

        1) 맞벌이 가구 현황

        2) 가사분담 실태

        3) 일과 가정생활 우선도

        4) 일·가정양립 지원제도 인지도

        5) 양육지원제도 이용 현황

        6) 가족친화인증기업 현황

 

Ⅲ. 조사개요

    1. 조사설계와 내용

        1) 조사설계

        2) 조사방법과 내용

        3) 2015년 조사와 차이점

    2. 조사대상자의 기본현황

        1) 가구주 유형

        2) 가구원 수

        3) 가구 월 평균 수입

        4) 가구 월 평균 지출

        5) 학력

        6) 혼인상태

        7) 배우자의 특성

 

Ⅳ. 조사결과 분석

    1. 취업자 조사 결과

        1) 전반적인 취업 사항

        2) 임금근로자 관련 사항

        3) 자영업주 관련 사항

        4) 경력단절 관련 사항

        5) 일과 생활의 균형 관련 사항

        6) 직업교육훈련 관련 사항

        7) 여성경제활동지원정책 관련 사항

    2. 미취업자 조사 결과

        1) 취업 및 창업 경험 관련 사항

        2) 경력단절 관련 사항

        3) 일과 생활의 균형 관련 사항

        4) 구직활동 관련 사항

        5) 취업 욕구 관련 사항

        6) 직업교육훈련 관련 사항

        7) 여성경제활동지원정책 관련 사항

    3. 조사결과 분석 요약

        1) 취업자 조사결과 분석 요약

        2) 미취업자 조사결과 분석 요약

 

Ⅴ. 연도별 비교 분석

    1. 취업자의 기본 현황 비교 분석

        1) 전반적인 취업 사항 비교 분석

        2) 임금근로자 관련 사항 비교 분석

        3) 자영업주 관련 사항 비교 분석

        4) 경력단절 및 직장과 가정의 양립 관련 사항 비교 분석

        5) 직업교육훈련 관련 사항 비교 분석

        6) 여성경제활동지원정책 관련 사항 비교 분석

    2. 미취업자 조사 결과 비교 분석

        1) 취업 및 창업 경험 관련 사항 비교 분석

        2) 경력단절 및 직장과 가정의 양립 관련 사항 비교 분석

        3) 구직 활동 관련 사항 비교 분석

        4) 취업 욕구 관련 사항 비교 분석

        5) 직업교육훈련 관련 사항 비교 분석

        6) 여성경제활동지원정책 관련 사항 비교 분석

    3. 연도별 비교분석 결과 요약

        1) 취업자 조사결과 비교 분석

        2) 미취업자 조사결과 비교 분석

 

Ⅵ. 정책제언

    1. 일과 생활 균형지원의 효과성 제고

    2. 여성의 특성을 고려한 취·창업지원서비스 정보 전달체계 구축

    3. 직업교육훈련의 정보접근성과 효과성 강화

    4. 지역특성을 반영한 종합적인 여성경제활동지원 정책 추진 필요

    5. 여성경제활동지원정책의 기초통계자료로서 역할 강화

 

sns 공유